-
[ 목차 ]
2026년 최저임금 확정: 시급 10,320원

인상률 2.9% → 월환산액(209시간) 2,156,880원. 근로자·사업자 반드시 확인!
- 적용 시점: 2026년 1월 1일부터
- 최저시급: 10,320원 (’25년 10,030원 → +290원, +2.9%)
- 월 환산(209시간 기준): 2,156,880원
전년 대비 변화 (2025 → 2026)

| 구분 | 2025 | 2026 | 증감 |
|---|---|---|---|
| 시급 | 10,030원 | 10,320원 | +290원 (+2.9%) |
| 월 환산(209h) | 2,097,? | 2,156,880원 | 상승 |
※ 월 환산액은 통상 209시간(주40시간+주휴) 기준. 실제 급여는 근로계약·근무시간·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.
내 월급 즉석 계산기
근로자가 꼭 확인할 5가지

- 시급이 10,320원 미만이면 조정 요청
- 월급제라도 209시간 환산액보다 낮으면 점검
-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
- 연장·야간·휴일근로 수당 별도 계산
- 근로계약서 재점검(임금·근로시간·수당 명시)
사업주가 꼭 점검할 5가지
- 시급 테이블 10,320원 이상 재설계
- 스케줄·인력운영 재배치(피크시간 집중)
- 포지션별 생산성 지표 설정
- 근로계약·취업규칙 최신화
- 급여·세무·노무 프로세스 자동화 검토
자주 묻는 질문(FAQ)
아르바이트·외국인 근로자에도 적용되나요?
네. 대부분 사업장에 동일 기준이 적용됩니다. 다만 일부 예외·특례가 있을 수 있어 근로계약서를 확인하세요.
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소정근로일 개근 시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. 통상 임금×주휴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월급제가 최저임금보다 낮은지 어떻게 보나요?
월급을 월 환산시간(보통 209h)으로 나눈 시급이 10,320원 미만이면 최저임금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.